남아프리카 공화국 유학 시절 프레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Pretoria)에서 얀 판 더 바트(Jan van Watt) 교수를 만나게 되었고 그의 지도아래 요한계시록을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책의 실상(?)을 처음 접하고 큰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필자가 이전에 알고 있었던 요한계시록의 내용과 실제로 요한이 전하고 싶어 하는 내용이 너무 다른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신세계를 만난 황홀함을 경험했다. 신선한 갈망을 요한계시록이라는 책을 공부하면서 느꼈고 본문의 내용에 흠뻑 빠졌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작은 변화의 꿈틀거림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을 그 당시에 요한이 살고 겪어야 했던 시대적, 역사적, 문화적 상황 속에서 바라보니까 본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보이기 시작했다.···
누군가 이렇게 물었다. 왜 이렇게 어렵고 위험한 요한계시록 공부를 하게 되었냐!고···, 물론 상당히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한 번 도전해 볼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어떤 이유보다도 요한계시록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이것이 한국 교회 안에 반드시 정리되어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본문에 대한 너무 왜곡되고 잘못된 편견과 선입견이 반드시 수정되고 재해석 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되었다. 이런 필자의 작업들이 세미나에서, 그리고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서 전달되었고 거기에서 작은 희망을 보게 되었다. 특히 필자의 생각을 확증시켜주는 것이 학교에서 강의를 다 마치고 보인 학생들의 반응이다. “이제 요한계시록이 더 이상 무섭지 않아요!”라는 반응이다. 맞다. 요한계시록은 전혀 무섭지 않은 책이다. 오히려 하나님의 사랑이 아주 진하게 소개된 사랑의 책이다.
신은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레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Pretoria)에서 세계 신약학회 요한문헌 분과장을 역임한 얀 판 더 바트(Jan G. van der Watt)교수의 지도로 신학석사와 그리고 요한계시록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총신신대원, 백석신대원, 서울신학교 등에서 신약학을 강의했고 현재는 TWIC과 백석 신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요한계시록 서론
제1부 쉽게 이해하는 요한계시록 신학-역사적/신학적 이해
제1강 저자, 수신자 그리고 연대
제2강 소아시아 일곱 교회의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상황
1장 위기 문학으로서 요한계시록-황제 숭배와 제국 제의
2장 소아시아 일곱 교회의 삶의 자리
1. 에베소 교회의 삶의 자리(2:1-7)
2. 서머나 교회의 삶의 자리(2:8-11)
3. 버가모 교회의 삶의 자리(2:12-17)
4. 두아디라 교회의 삶의 자리(2:18-29)
5. 사데 교회의 삶의 자리(3:1-6)
6. 빌라델피아 교회의 삶의 자리(3:7-13)
7. 라오디게아 교회의 삶의 자리(3:14-22)
제3강 요한계시록의 해석 방법
1장 전통적 네 가지 해석 방법
1. 역사주의적 관점
2. 과거주의적 관점
3. 미래주의적 관점
4. 상징주의적 관점
2장 새로운 대안적 방법으로서 다차원적 관점(절충주의적 관점)
제4강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시간 이해
1장 1세기의 시간 개념
2장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3장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시간 이해
제5강 요한계시록이 사용된 배경적 상황 이해
1장 읽는자, 듣는 자들, 지키는 자들
2장 요한계시록의 구약 인용과 문화적 소통
제6강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상징적 이미지 이해
1장 상징의 의미 이해
2장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숫적 상징이해
제7강 요한계시록의 문학 장르
1장 묵시문학이란 무엇인가?
2장 요한계시록 장르 이해
1. 계시 / 묵시(1:1)
2. 예연(1:3)
3. 서신(1:4)
제8강 시간/연대기적? 또는 반복적?
제2부 요한과 함께하는 요한계시록의 구조 이해
제1강 서론과 일곱 교회(1장과 2-3장과의 구조적 관계)
제2강 일곱 교회와 하늘 보좌 장면(2-3장과 4-5장과의 구조적 관계)
1장 일곱 교회의 구조 이해
2장 하늘 보좌 장면
1. 나팔소리 같은 음성(1:10;4:2)
2. 성령에 감동되어(1:10, 4:2, 17:3,21:10)
제3강 하늘 보좌와 세 개의 심판 시리즈(4-5장과 6-16장과의 구조적 관계)
1장 종말론적 신현 현상
2장 막간이란(7:1-17,10:1-11:13)
3장 두 증인은 누구(10:1-11:13)
4장 악의 삼위일체(12장-14장)
제4강 음녀 바벨론과 새 예루살렘(15-16장과 17:1-22:5과의 구조적 관계)
1장 악의 최종적 심판
1. 악의 삼위일체에 대한 심판과 구조 이해
2. 천 년 왕국 구조 이해: 땅에서? 하늘에서?
2장 성도/교회의 최종 구원
제5강 약속과 성취(2-3장과 211-22:5)
1장 에베소 교회의 이기는 자들에게 주는 성취 말씀
2장 서머나 교회의 이기는 자들에게 주는 성취 말씀
3장 버가모 교회의 이기는 자들에게 주는 성취 말씀
4장 두아디라 교회의 이기는 자들에게 주는 성취 말씀
5장 사데 교회의 이기는 자들에게 주는 성취 말씀
6장 빌라델피아 교회의 이기는 자들에게 주는 성취 말씀
7장 라오디게아 교회의 이기는 자들에게 주는 성취 말씀
제6강 22:6-22:21:결론
제7강 요한계시록의 올바른 현대적 읽기를 위한 한 마디
요한계시록 참고문헌